
타입이 확실할 때 경고메시지를 방지하거나 api를 사용하기 위해 타입 단언을 사용한다.
1. '!' (느낌표)를 통한 타입 단언으로 값이 반드시 존재함을 알린다.
(타입 단언 하지 않으면 null일수도 있다고 경고가 뜸)
const button = document.querySelector('class')!;
2. as를 통한 타입 단언(캐스팅)으로 string의 length api를 사용하는 예시
const jsFunc = (): any => {
return 'hello';
}
const result = jsFunc();
console.log((result as string).length);
'Type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ypeScript] 제네릭을 사용하는 이유 (0) | 2021.04.15 |
---|---|
TypeScript로 이해하는 객체지향 (0) | 2021.04.14 |
[TypeScript] 유니온 타입은 언제 사용하는가? (0) | 2021.04.13 |
TypeScript에서 추가된 함수 기능들! (0) | 2021.04.13 |
TypeScript의 기본 타입 알아보기 (0) | 2021.04.10 |